{수필} 겨자나무에 새들이 날아들다
페이지 정보
본문
겨자나무에 새들이 날아들다 / 박봉진
뜻밖이었다. ‘겨자나무’라 해서 뽕나무나 올리브나무 같은 나무인줄 알았다. 그것은 나무가 아니었다. 봄날, 사막토질인 LA인근 산야에 흐드러지게 피는 꽃, ‘갓꽃’을 닮은 한해살이 야생초였다. 말씀을 문자적으로만 봤던 내 식견이라니. 심은 씨앗이 파래지자 어렴풋이 감이 잡혔다.
“천국은 마치 사람이 자기 밭에 갖다 심은 겨자씨 한 알 같으니 이는 모든 씨보다 작은 것이로되 자란 후에는 나물보다 커서 나무가 되매 공중의 새들이 와서 그 가지에 깃들이느니라.”
몇 해 전, 성지투어 중 일행이 갈릴리와 예루살렘에 갔던 땐 5월 초순. 꽃이 진 장다리형태 겨자나무를 그렇게 만났다. 다른 나라 안내는 현지 가이드가 했다. 허나 이스라엘에선 그곳 대학연구원 한국교수가 맡았다. 곳곳 해설은 화끈했으나 비유말씀에선 현물 확인만으로 끝냈다.
흡사 애벌레 모양으로 보였던 겨자나무 씨방 몇 개를 땄다. 고려말기 중신 문익점이 원나라 사신으로 갔다 반출 금지품목 목화씨를 붓대궁 안에 넣어왔듯이 나도 그리해봤다. 목화씨는 체리 씨만 해도, 겨자씨는 열무 무씨만 해 주머니 안 먼지처럼 입국 때 문제꺼리도 아니 됐었다.
뒤뜰엔 과목과 작은 채소밭이며 꽃밭도 있는데 거기엔 적합할 것 같지 않아 겨자씨를 서랍에 넣어뒀다. 유기농 수확물과 꽃들을 보는 재미가 제법이기로 겨자씨를 잊고 지냈다. 건데 새들을 모아보려 모이를 뿌리고 새집을 달아줘도 새는 오지 않아 뒤뜰은 여전 미완성으로 남았었다.
메뉴엘 에는 밭에 겨자씨 한 알을 심는 거다. 겨자는 밭작물에선 메어내야 할 야생 가라지가 아닌가. 밭에 심을 작물이 못돼도 우리네 개인처럼 은혜 입은 수혜자일 수밖에 없다. 거름을 깔고 물을 줬다. 연한 잎이 한 뼘이나 커서 나물이 되더니만 속대가 뻣뻣해져 가슴께로 자랐다.
장다리가 다돼서 뻗친 가지마다 노란 꽃을 피웠다. 야생이 밭작물을 압도하더니 약점도 보였다. 꽃대가 흔들바람에선 취약해 지주목을 세워 매어줬다. 꽃이 씨방이 돼 누르스름 익어갔다. 겨자나무는 별개가 아니다. 성장과정 따라 지금껏 새싹, 나물, 나무로도 말하는 관습뿐인걸-.
참새는 어느 나라에도 다 살고 있다더니 못 봤던 새들이 때맞춰 겨자나무에 날아든다. 그 표현은 알기 쉬웠어도 대미는 형상화요, 한 점 오차도 없는 오묘다. 이제 우리 집 뒤뜰도 완성되어가려나.♥
(미주 '교회지남' 권두수필)
- 이전글예수님을 구주로 믿는 7 증거 16.08.04
- 다음글사랑은 공로가 아닙니다. 16.07.09
댓글목록
李寧熙님의 댓글
李寧熙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예수님이 친히 비유로 말씀하신
팔레스틴 지방에서 작은 겨자씨를 직접 가져
오셔서,
뒤뜰에 생생한 실물교훈을 재현해 주셔서 감동이 되살아 납니다
저도 채소밭에 겨자( mustard/ 와사비) 를 해마다 재배를 하고 있지만
다른 작물을 압도해 밭 가에 몇그루 세워놓습니다
예수님 당시 팔레스틴의 농부들은 밀 보리를 주로 파종했기 때문에
그들이 뿌린 씨앗 중엔 겨자씨가 상대적으로 작았다고 합니다.
실제로 지금은 채소 중에 겨자씨보다 더 작은 씨들이 있습니다만.
그러나 겨자씨처럼 작음에도 나무처럼 가지를 뻗고
새들이 깃드는 채소는 없지요
비록 겨자씨 만한 작은 믿음이 있어도 산을 옮길 만한
큰 믿음의 나무로 키워 주시는 분의 말씀은
당시 농부들에겐 적절한 실물교훈이었겠지요
씨를 잘 보관하셨다가 널리 분배해 주십시요
보통 씨가 아니잖아요
"팔레스틴 산 토종 겨자씨"...
박봉진님의 댓글
박봉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이영희장로님, 금년 같은 힘든 여름나기에도 여전 잘 지내고 계시네요?
'신로신불로'라더니 장로님 말씀엔 한참 때의 그 열정이 말씀에도 그대로 나타나고 있어 반가워요.
받으신 다른 축복들도 많으시지만 장로님의 심신 최고조 그보다 더 무엇을 바라겠는가 싶습니다.
말씀 소재를 택해 읽기 편한 수필작품적으로 창작해낸다는 것은 제게 큰 부담이였습니다.
그래 저는 말씀 소재는 피하고 바깥 변부리만 에돌았는데, 장로님처럼 핵심을 짚은 열정 어조로 말씀하시니 더 감명적입니다.
고맙고 황송합니다. 쉼 없이 일진월보하시는 장로님의 기력, 오래 오래 보전하시고 누리시길 간구드립니다.